💡 개요
오늘은 네트워크 기술인 CDN에 대해 정리해 보자.
📕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이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 물리적으로 거리가 먼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서울에 데이터센터를 두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런던에 있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접속하려고 하면, 물리적인 거리로 인해 지연 시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DN은 원본(origin) 서버의 데이터를 여러 지역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한다.
즉, 런던과 가까운 곳에 데이터센터를 배치하고, 원본 서버의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센터에 동기화함으로써 물리적으로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한 사용자도 빠르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일기] 2025.02.23 - @Builder를 사용하면 생성자가 private이라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이유? (0) | 2025.02.23 |
---|---|
[개발 일기] 2025.02.22 - JPA Entity 기본생성자 (0) | 2025.02.22 |
[개발 일기] 2025.02.20 - 리눅스 Swap Memory (0) | 2025.02.20 |
[개발 일기] 2025.02.19 - 서브 도메인 (0) | 2025.02.19 |
[개발 일기] 2025.02.18 - 한글과 VARCHAR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