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오늘은 네트워크 관련 공부를 하면서 이름이 비슷해서 자주 헷갈렸던 bit와 byte의 특징에 대해 정리해 보자.
bit
bit란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최소단위이다.
컴퓨터 내부에선 전기 신호로 표현되며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 1 → 전기가 흐름
- 0 → 전기가 흐르지 않음
bit단위는 주로 네트워크 속도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참고
Mbps(Megabits per second) → 초당 메가비트(1초에 몇 메가비트 전송)
byte
byte(B)는 8개의 bit로 구성된 데이터 단위이다.
총 8개의 bit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56 종류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ASCII 문자에 있는 알파벳이나 특수문자는 한 문자당 1바이트로 표현된다.
하지만 한글은 한 글자에 표현되는 문자가 많기 때문에 최소 2바이트로 표현된다.
위의 byte 사용 예시처럼 byte는 주로 저장 용량 단위에 사용된다.
KB, MB, GB 모두 byte 단위를 사용한 것이다.
Byte의 혼란
우리는 보통 컴퓨터의 용량 단위를 표현할 때 킬로바이트,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테라바이트 등으로 표현한다.
인간은 1KB를 1,000B으로 인지한다.
보통 K가 붙으면 1,000을 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컴퓨터는 다르다. 이전에 언급했다시피 컴퓨터는 0(ON) 아니면 1(OFF)만 인식한다.
그래서 1,000과 가장 가까운 숫자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낸 1,024(2^10)을 단위로 사용한다.
1TB 하드디스크를 본체에 연결했는데, 총용량이 약 931GB라고 나오는 것도 인간과 기계가 사용하는 단위 차이 때문이다.
하드디스크 제조사는 1TB를 1,000GB(1,000,000,000,000 B)라고 10진법을 기준으로 광고하지만, 운영체제는 2진법을 기준으로 1TB를 1,024GB로 인식한다.
하지만 1,000,000,000,000B는 1,024GB에 못 미치기 때문에 보통의 일반 사용자가 생각하는 1,000GB보다 적게 나오는 것이다.
KiB, GiB, TiB의 등장
위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표준이다.
접두어 | 값 | 기존 10진법 접두어 |
KiB | 1,024B | KB (킬로바이트) |
GiB | 1,024MiB | MB (메가바이트) |
TiB | 1,024GiB | GB (기가바이트) |
이러한 이진 접두어를 사용한다면 더 정확한 컴퓨터 용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일기] 2025.02.05 - 식별 관계, 비식별 관계 (0) | 2025.02.05 |
---|---|
[개발 일기] 2025.02.04 - 추상 클래스 vs 인터페이스 (1) | 2025.02.04 |
[개발 일기] 2025.02.02 - 제네릭 (0) | 2025.02.02 |
[개발 일기] 2025.02.01 - 객체 지향 생활 체조 9가지 규칙 (2) (1) | 2025.02.01 |
[개발 일기] 2025.01.31 - LSTM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