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HTTP

2022. 2. 7. 21:23·백엔드/Internet

HTTP 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줄임말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주고받는 규약이다.

HTTP 의 동작 방식은 유저가 인터넷 상의 서비스인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에게 어떠한 것을 요청하면(HTTP Request), 서버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유저에게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다(HTTP Response). 이러한 서버와 유저간의 통신을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의 형태는 HTML 이나 JSON, XML 등이 있다.

 

좌측부터 HTML, JSON, XML 구조

 

HTTP Request

 

클라이언트(유저,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등)가 서버에게 원하는 액션이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HTTP Request 라고 한다.

 

(1) HTTP Request 종류

 

GET : 원하는 자료를 가져오기 위해 서버에게 요청

POST : 원하는 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서버에게 요청

PUT :  원하는 자료를 수정하기 위해 서버에게 요청

DELETE : 원하는 자료를 삭제하기 위해 서버에게 요청

 

(2) HTTP Request 의 구조

HTTP Request 헤더

이후에 Data 부분이 HTTP Request 의 Body 부분이다.

 

HTTP Response 

 

클라이언트의 HTTP Request 를 받은 서버가 그 요청에 대한 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것을 HTTP Response 라고 한다.

HTTP Response 의 구조는 상태코드, Header, Body 로 구분된다.

(1) HTTP Response 의 상태코드

 

모든 HTTP Response 의 상태코드는 5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

  • 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 2xx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하였다
  • 3xx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 4xx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 5xx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다

(2) HTTP Response 의 Body

 

Response 의 대부분의 경우에는 Body 부분이 존재한다. 클라이언트의 Request 에 대한 데이터나 액션을 Body 에 HTML 이나 JSON, XML 의 형태로 담아서 클라이언트에게 보냄으로  웹 브라우저 화면에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백엔드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 인터넷 동작 원리  (0) 2022.02.06
'백엔드/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엔드] 인터넷 동작 원리
오도형석
오도형석
  • 오도형석
    형석이의 성장일기
    오도형석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N
      • MSA 모니터링 서비스
        • DB
      • 스파르타 코딩클럽
        • SQL
        • Spring
      • 백엔드
        • Internet
        • Java
        • DB
      • 캡스톤
        • Django
        • 자연어처리
      • Spring
        • JPA
        • MSA
      • ETC
        • ERROR
      • 개발 일기 N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인기 글

  • 태그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오도형석
[백엔드] HTTP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